1. 하나은행 영세율 증빙 발급방법
(1) 지점 방문 발급
![하나은행 외국환입금확인서 하나은행-외국환입금확인서](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jlR3-65BSh6_17AlMm6WxV3GYKYOVnqci5OnbWj6amgYdJngZ0xMDls4__qDQzGChzdnHXOrmJLupJI4t85qccevPTFOR7zmXRDG9nf0ALy8in_xXZLbTaQgT3sL3VWbLirdICX_GuvrrwFE1f5INlRoKER08A5rP7UFYkYEhoDX_m9leLTvL-nMcl=w541-h640) |
영세율 첨부서류 |
하나은행 지점에 신분증을 가지고
방문하여 외국환입금확인서(외국환예치확인서)를 발급받고 싶다고 요청하면, 위와 같이 직인이 찍힌 증명서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해당 과세기간 동안의 거래내역입니다.
외화입금확인서 발급 수수료는 2,000원이며, 거래내역 발급수수료는 2,000원입니다.
(2) 온라인 비대면 발급
개인사업자이면서 하나은행 기업뱅킹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지점 방문 없이
하나은행 기업뱅킹 홈페이지에서 출력을 할 수 있습니다.
개인뱅킹에서는 출력할 수 없으며, 기업뱅킹에 새로 가입할 경우 기업뱅킹 가입
전에 송금을 받은 건에 대한 외국환매입증명서도 발급 받을 수 있으니, 추가로
기업뱅킹에 가입하면 됩니다.
하나은행 기업 인터넷 뱅킹 홈페이지에서 로그인한 뒤, 돋보기 모양 검색창에
'외국환입금확인서'를 입력하여 검색합니다.
조회 > 증명서발급 > 외국환입금(예치)확인서 > 발급신청을
클릭합니다.
국문 외국환입금확인서를 선택 후 과세기간을 설정하고, 예치종류는 전체를
선택한 뒤, 아래쪽에서 송금 받은 계좌번호를 선택하여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화면 아래쪽으로 발급대상 거래가 나오는데 다음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발급신청 화면으로 이동하면 수수료 2,000원을 출금계좌에서 즉시 납부할 수
있습니다.
계좌번호 선택 후 계좌비밀번호 4자리와 OTP 비밀번호 6자리를 입력하면 됩니다.
그 다음 화면에서 확인서 인쇄하기 버튼을 누르면 영업점에서 발급해주는 외국환
입금(예치) 확인서와 동일한 형태의 증명서를 인쇄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보안 프로그램으로 인해 화면 캡처나 PDF 저장이 불가능하므로 일단 인쇄를
한 뒤 다시 스캔을 하거나, 프린터 없이 PDF로 출력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됩니다.
✅ 참고로, 입출금 거래내역은 조회 > 거래내역조회 메뉴에서 계좌번호와
조회기간을 설정 후 거래내역확인증 양식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2. 신한은행 외화입금확인서 발급방법
신한은행 외화입금확인서도 기업 인터넷뱅킹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온라인으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저는 신한은행은 개인뱅킹만 사용하고 있어서 직접 영업점에 방문하여
발급 받았습니다.
마찬가지로 신분증을 지참하여 영업점으로 방문해서 외국환매입증명서 발급을
요청하고, 발급 용도는 세금 신고 또는 세무서 제출용이라고 말하면 됩니다.
외국환매입증명서 발급 수수료는 1,000원이고, 거래내역 발급 수수료는
2,000원입니다.
3. 우리은행 외화입금증명서 발급방법
우리은행은 아직까지 인터넷으로 외화매입증명서 발급이 안됩니다.
따라서 직접 영업점에 방문해서 증명서를 발급 받아야 합니다.
![우리은행 외국환매입증명서 발급 우리은행-외국환매입증명서-발급](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h2wxmjgj3qBMOwUAhE4IzTEQBo-ZIs846JoBuh4Q3OM-XBZ3-_mCsQzNeRxrCdonCdAAfRLTCKdrjDQyRo0eQP7jV0GtKgjxQbBT6ot9eUMncO-8g-wuaDPwM_16VTENCsuyIf1QvvAB3JS5Z2gu7TkWv70WuED1t8n5N9eVu55LZxTRn6r07fSg4M=w480-h640) |
우리은행 외국환예치증명서 |
![우리은행 외국환예치증명서 비용 우리은행-외국환예치증명서-비용](https://blogger.googleusercontent.com/img/a/AVvXsEjChfnQzzSK5mR9-JJz_izUoERwcX3UTYcuG17K8MLzRxds8wkQAZaUoj2tqnqSFejABCmvMgu-G1OXbfrS97cm9X9zJfNXss1v1a2u1Jpifu5b8ZnBnLtqjMbBBaCQbz4HbAHAeDh2-lVcc3em33YJNR8fbk8rM_VukK_gZrtqcKKr2D0HXm_mwWP9=w496-h640) |
우리은행 외국환매입증명서 발급 수수료 |
외국환(매입)증명서 발급 수수료는 1,000원이고 예금거래 실적증명서(거래내역) 발급수수료는 2,000원입니다.
4. 국민은행 외화입금확인서 발급 방법
국민은행은 지점 방문 없이 인터넷뱅킹으로 외국환매입증명서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외국환매입증명서는 수수료 없이 무료 발급이 가능합니다.
국민은행 인터넷뱅킹에 로그인 후, 우측 상단의 돋보기 모양을 눌러서
'외국환매입'을 입력합니다.
검색결과에서 기업뱅킹 > 외환 > 외화송금 > 해외송금받기/조회 >
외국환매입(예치)증명서 메뉴를 클릭합니다.
이 메뉴로 접속해도 송금 받은 내역이 조회 되지 않을 경우, 개인 외화통장으로
입금 받은 것일 수도 있으니 개인으로 로그인하면 같은 경로에서 증명서 발급 대상
건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조회기간을 해당 과세기간으로 설정한 뒤 조회하면 송금 받은 내역이 건 별로
나옵니다.
앞쪽의 체크박스를 선택하고 발급용도는 '공공기관제출용(세무서등)'을 선택한 뒤,
증명서발급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외국환매입(예치)증명서 내역이 나오는데, 아래쪽의 증명서출력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외국환매입증명서가 발급됩니다.
국민은행도 하나은행과 마찬가지로, 보안 프로그램으로 인해 화면 캡처 또는 PDF
저장이 불가능하므로, 인쇄 후 다시 스캔을 하거나 PDF로 바로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됩니다.
✅ 거래내역 출력은 조회 > 국민은행 계좌조회 > 외화/골드 > 해당 계좌
잔액 오른쪽의 조회 버튼을 클릭해서 들어간 뒤 인쇄를 하면 됩니다.
🔻 함께 볼만한 글 :
댓글